티스토리 뷰

건강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하는 방법

awesomeeasy 2024. 9. 26. 10:00
반응형

국민건강보험법 제 12조 제4항 개정으로 2024년 5월 24일부터 모든 요양기관(병,의원)에서 신분증 확인이 의무화되었습니다.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타인의 신분을 도용해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받거나 해외 거주자 등이 다른 사람을 사칭하여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위함입니다. 약국의 경우 처방 환자에 대해 본인확인의무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이미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내려오기 때문에 이용하는 분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아파서 병원에 방문했는데 신분증이 없어서 다시 집에 다녀와야하나 난감한 상황이 벌어질 때 다들 가지고 있는 휴대폰으로 만들 수 있는 아주 쉬운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인데요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건강 보험증 발급 방법

1. 먼저 어플을 다운 받아주세요

 

갤럭시 플레이스토어

갤럭시 플레이스토어 다운하기

애플 앱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다운하기

 

2. 모바일 건강 보험증 본인 자격 확인 서비스를 진행합니다.

3. 한국어 선택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선택 가능)

4.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부 수집 약관에 동의합니다.

5. 본인 확인 인증 절차 진행

6. 비밀번호 숫자 4자리 설정 (연속 숫자 3자리, 생년월일은 사용 불가)과 생체인증 정보 등록

 

순서대로 하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 방법

병원 방문 시, 어플을 키고 QR 제출 버튼을 클릭하면, 30초 동안 유효한 QR코드가 생성됩니다. 생성된 코드를 진료 접수처에 보여주면 실물 신분증이 없어도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 공지한 본인 확인 방법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건강 보험증
  • 장애인등록증
  • 국가보훈 등록증
  • 외국인 등록증
  • 모바일 신분증
  • 여권
  • 공동 인증서
  • 간편 인증(삼성페이,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 NH 인증서, PASS)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확인 서비스가 있습니다.

 

단, 본인확인 예외의 경우도 있습니다. 19세 미만(주민등록번호 제시), 응급환자, 처방약 조제, 진료의뢰 및 회송, 해당 요양기관 6개월 이내 재진환자의 경우, 거동불편자, 및 중증 장애인, 장기 요양자, 임산부는 신분증 확인 하지 않아도 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미리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 받아가면 편리하고 유용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